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운향과의 낙엽교목.
학명 Phellodendron amurense
분류 운향과
분포지역 한국·일본·중국
서식장소 산지
크기 높이 20m
.....
황경피나무라고도 한다.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 20m에 달하고 나무껍질에 연한 회색으로 코르크가 발달하여 깊은 홈이 진다. 잎은 마주달리고 홀수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5∼13개로서 달걀 모양 또는 바소꼴의 달걀 모양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잎맥 밑동에 털이 약간 있다.
꽃은 6월에 피고 원추꽃차례로 달리며 2가화이다. 꽃잎은 5∼8개이고 안쪽에 털이 있으며, 수꽃에는 5∼6개의 수술과 퇴화한 암술이 있다. 씨방은 5실이다. 열매는 핵과로 7∼10월에 둥글고 검게 익으며, 겨울에도 달려 있다. 5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내피를 분말로 하거나 달여서 건위제 또는 지사제로 사용한다. 황벽이란 이름은 황색인 내피에서 생긴 이름이다. 한국·일본·중국·아무르 등지에 분포한다. 잎의 뒷면에 털이 밀생한 것을 털황벽(P. molle)이라 하며, 코르크층이 얇고 잎 가장자리에 털이 적은 것을 넓은잎황벽(P. sachalinense)이라고 한다. 작은잎의 수가 3∼5쌍인 것을 섬황벽(P. insulare) 또는 섬황경피라고 하며 울릉도에서 자란다.
.......
황금, 황련과 그 약성이 비슷하나 그 약효가 적용되는 부위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황금은 주로 上焦(상초)에 작용하며, 황련은 中焦(중초), 황백은 下焦(하초)에 작용한다. 황백은 신장의 열을 꺼주고 하초의 습열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어 황달이나 대하, 창독, 다리의 통증을 치료하는 요약이며 황금, 황련이 실열을 내리는 작용이 강한 것에 반하여 황백은 음기가 너무 약하여 상대적으로 양기가 성하여 생긴 허열의 증상에 큰 효과가 있다. 열을 내려서 음기의 손상을 막는 작용이 있으나 황백이란 약재가 음기를 보하거나 보존시키는 효능은 가지고 있지 않다. 또한 황벽나무의 뿌리인 황벽근은 檀桓(단환)이라고 하여 명치에 생긴 질병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다고 전해진다.
<신농본초경집주>: "마른 옻을 꺼린다."
<신농본초경소>: "음양이 양쪽 다 허 한자이고 식욕부진 및 소화불량의 증상이 있고 설사하거나 찬 음식을 싫어하고 뜨거운 것을 즐겨 먹는 증, 신장이 허하고 새벽이 되면 설사하는 증, 상열하한, 소변 실금, 하복 냉통, 자궁이 냉한 증, 혈허 하고 임신하지 못하는 증, 장이 허하여 발열하는 증, 어혈이 정체하는 증, 산후 혈허에 의한 발열, 창상 발열, 옹저가 터진 다음의 발열, 소화불량에 의한 발열, 음허로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 천연두 후에 비장이 허하여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 비허 부족으로 설사하는 증에는 모두 이것을 꺼린다."
민간에서는 위가 나쁘거나 과식, 과음, 숙취, 비만증, 당뇨병 등에 황백의 가루를 1회 0.5g을 먹으며, 설사에는 1g을 매번 식사 후에 미지근한 물로 먹는다. 타박상, 염좌일 때는 가루에 식초를 넣고 반죽하여 환부에 습포한다. 절상, 찰과상에는 가루를 바르기도 한다.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쓰고 있다.
베르베린은 또한 쓴맛건위작용, 해열작용, 소장에 대한 진경작용, 백혈구의 탐식기능을 높이는 작용을 나타낸다. 습열설사, 이질, 황달, 대하, 임증(淋證), 폐결핵, 유정(遺精), 음부소양증, 헌데, 습진 등에 쓴다.
세균성이질, 장결핵, 방광 및 요도의 염증, 골관절결핵 등에도 쓰고 고혈압병과 식욕이 없는 데도 쓴다.
하루 6~9그램을 탕약, 산제, 환약 형태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가루 내어 기초 제에 개어 바른다. 베르베린을 뽑아 염산염이나 유산염을 만들어 담낭염, 담석증, 만성간염에 쓴다."
안덕균씨가 쓴 <한국본초도감>에서는 황백에 대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운향과의 갈잎큰키나무 황벽나무(Phellodindron amurense Rupr.), 털황경피나무(Phellodindron molle Nakai), 섬황경피나무(Phellodindron insulare Nakai)의 나무껍질이다.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청열조습(淸熱燥濕), 사화해독(瀉火解毒), 청퇴허열(淸退虛熱)의 효능이 있다.
해설:
① 약성이 침강하므로 하초습열(下焦濕熱)을 제거한다.
② 습열로 인한 황달, 이질, 대하 및 다리와 무릎이 붓고 아프며 무겁고 마비되는 증상에 유효하다.
③ 창양(瘡瘍), 종기, 습진, 화상 및 눈이 충혈 되고 통증을 호소하는 질환에도 유효하다.
④ 열로 인해 소변의 양이 적고 잘 나오지 않을 때 편축, 목통(木通)을 배합해서 쓰며
⑤ 음허발열(陰虛發熱)로 뼛골이 쑤시면서 식은땀이 나고 유정(遺精)이 있는 증상에 활용된다.
성분: 베르베린(berberine) 1.6~4%, jatrorrhizine, magnofloㅣine, phellodendrein, candicine 등이 알려져 있다.
약리:
① 항균 작용은 황련(黃連)보다 조금 약하나 피부진균 억제 작용은 더 강하며, B형간염 치료 효과를 보인다.
② 혈압 강하 활성 작용이 현저하며,
③ 장관(腸管)수축 작용을 증강시키고, 일정한 근육 이완 작용을 나타내며, 혈당 강하 작용 및 생쥐의 항체 생성을 촉진시킨다.
④ 거담 작용과 일정한 진해 작용을 보인다.
임상보고:
① 만성세균성이질에 현저한 반응을 보였고,
② 유행성뇌척수막염에 양호한 효과를 보였다.
③ 화상에 유백피(楡白皮)를 분쇄하여 2:1의 비율로 배합하여 80% 알코올에 48시간 담갔다가 여과한 액을 환부에 발라서 효과를 얻었다.
④ 열매에서 뽑아 낸 정유 성분은 만성기관지염으로 인한 진해, 거담, 천식을 가라앉히는 효과가 탁월하였다."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황경나무(Phellodindron amurense Rupr.)
다른이름: 황벽나무, 황경나무, 황경피나무, 황백
식물: 높이 약 8미터 되는 잎지는 큰키나무이다. 잎은 달걀 모양의 쪽잎이 5~13개모인 깃겹잎이다. 꽃은 이른 여름에 노란색으로 핀다. 열매는 둥글고 검은색으로 여문다.
각지의 깊은 산의 습하고 비옥한 산골짜기, 개울가에서 자란다.
껍질(황백피): 여름철에 껍질을 벗겨 2~3일 햇볕에 말리면 겉껍질(코르크)이 잘 벗겨진다. 다음에 완전히 말린다. 여름철에는 껍질이 잘 벗겨질 뿐 아니라 베르베린 함량도 높다.
식물의 베르베린 함량은 자란 햇수와 부위에 따라 다르다. 가지껍질에는 1.7~2.3%, 원줄기 껍질에는 1.9~2.9%로 굵은 줄기일수록 베르베린 함량이 높다. 뿌리에서는 원뿌리껍질에서 5.5~6.9%, 곁뿌리껍질에서 7~11.7%, 가지뿌리껍질에서 11~12%로 가는 뿌리일수록 높다.
..........
황벽나무, 털황벽, 넓은잎황벽, 섬황벽의 수피를 黃柏(황백)이라 하며 약용한다. 3-6월 10년 이상 된 황백 수피의 일부를 교대해 가면서 벗긴다. 겉껍질을 제거하고 화색 속껍질을 햇볕에 말린다.
성분 : Berberine, jatrorrhizine, magnoflorine, phellodendrine, candicine, palmatine, menisperine 등의 alkaloid가 함유된 외에 obacunone, obaculactone, dictamnolide, obacunonec acid, lumicaeruleic acid, 7-dehydrostigmasterol, β-sitosterol, campesterol이 함유되었고 근피(根皮)에는 berberine, jatrorrhizine, phellodendrine, candicine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 : 淸熱(청열), 燥濕(조습), 退虛熱(퇴허열), 制相火(제상화), 瀉火(사화), 해독의 효능이 있다. 暑熱(서열)로 인한 下痢(하리), 單純性下痢(단순성하리), 당뇨병, 황달, 하반신마비, 夢精(몽정), 遺精(유정), 淋濁(임탁), 痔瘡(치창), 혈변, 赤白帶下(적백대하), 骨蒸勞熱(골증노열), 目赤腫痛(목적종통), 口中生瘡(구중생창), 瘡傷腫毒(창상종독)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4.5-9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하여 쓴다.
외용 :粉末(분말)로 하여 붙이거나 달인 液(액)에 환부를 담근다.
이명 :황벽(黃檗), 벽목(檗木), 벽피(檗皮)
약성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독성 :무독(無毒)
채집시기/산지 :봄과 여름 10년 이상 된 황벽 나무에서 채집하며 우리나라의 중부 이북의 고산 지대에서 자생한다.
가공 :실열을 제거하고 할 때는 生用(생용)하고 하초의 열을 내릴 때는 생강즙을 추가해서 볶고 허열에는 소금물과 함께 볶는다.
황백(黃柏) : 불순물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습한 것을 썰어 토막으로 하거나 선 모양으로 썰어 볕에 말린다.
황백탄(黃柏炭) : 얇게 자른 황백을 센 불로 표면이 탈 때까지 볶고(그러나 약성이 남을 정도로 볶는다) 청수(淸水)를 뿜어 꺼낸 다음 식혀서 볕에 말린다.
염황백(鹽黃柏) : 얇게 썬 황백에 식염수를 뿌리고 골고루 섞은 다음 냄비에 넣어 약하게 조금 볶고 꺼내어 식혀서 볕에 말린다. 황백편(黃柏片) 60kg(100근) 대하여 식염을 1500g(2근 반)을 쓰고 적량의 열탕(熱湯)으로 잘 녹인다.
주황백(酒黃柏) : 얇게 썬 황백에 황주(황주)를 뿌리고 잘 섞고 염황백(鹽黃柏)과 같은 방법으로 볶는다. 황백편(黃柏片) 60kg(100근) 대하여 황주는 6000g(10근)을 쓴다.
뇌공포구론 : "황벽의 코르크 껍질을 칼로 깎아 버리고 생밀수(생밀수)에 반 날 담그고 꺼내어 볕에 말리고 꿀을 발라 강약을 조절하면서 꿀이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굽는다. 황벽 190그램(5냥)에 꿀 113g(3냥)을 쓴다."
주의 :비가 허하여 설사가 잦은 자와 소화기관이 약하여 식사량이 적은 사람은 응용하기 적당하지 않다. 실화증(實火症)이 아니며 비허설사(脾虛泄瀉)나 위가 약한 사람은 금할 것.
............
우리나라의 전국의 산에 자생하며, 특히 경상남도의 천황산, 가지산, 간월산, 신불산 을 연결하는 영남알프스에 수 많은 황벽나무가 있었지만, 나무의 질이 좋기 때문에 땔 감의 원료로 남벌되어서 찾아보기가 힘들게 된 나무중의 하나이다. 담즙 분비작용. 소염작용을 하며, 황경피에 있는 알칼로이드인 베르베린 성분은 대장균, 적리균을 비롯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억누르는 작용과 진정 및 진통 작용 등이 있다.
하지 전후에 나무줄기에서 껍질을 벗겨내어 조피(粗皮:거친 껍질)를 제거하거나 썰어서 햇볕에 말린다. 이 껍질은 약으로 쓰이며 혈당저하 작용을 한다. 또한 폐렴쌍구균, 인형결핵균, 포도상구균 등에 대하여 발육저지 작용을 함과 동시에 종양세포의 번식을 저지시키고, 살균작용을 한다. 복용하는 경우에는 미각 반사의 항진에 의하여 위액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식욕의 항진도 가져오게 한다.
일반 알칼로이드가 지니는 전신작용을 하지 않기 때문에 다량으로 투여해도 부작용이 없으므로 정장제뿐 아니라 건위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약재에 대하여 여러 세균의 내성(耐性)도 생기지 않으므로 유행성 눈병이 유행할 때 세안 소독약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그 외에도 혈압강하·중추신경계 억제·항염증 등의 효과도 보고 되어 있으며, 동양의학에서는 황련해독탕·시호청간탕·형개연교탕 등에 사용되고 있다.
..........
간경화, 복수 제거 : 껍질을 고아서 장복 한다.
당뇨병 :황백을 달여서 마신다.
타박상 :밀가루와 황백의 같은 양을 혼합하고, 여기에 달걀흰자와 식초 5-6방울을 혼합하여 타박상의 환부에 바르면 어혈을 제거한다.
폐결핵 :황경피나무 껍질(황백)을 부드럽게 가루 내어 한 번에 3~4그램씩 하루 3번 식후에 먹는 방법도 좋은 효과를 낸다. 황경피에는 결핵균을 죽이는 유효성분인 베르베린이 들어 있는데, 베르베린은 물론 황경피 달임 약도 스트랩토마이신에 견디어 내는 결핵균을 죽이므로 결핵약에 반응하지 않는 폐결핵 환자에게 효과가 있다.
늑막염 :시호 15g, 황백 15g, 포공영 15g, 어성초 25g, 감초 5g을 물로 달여서 하루에 2번 먹는다. 화농성늑막염에 쓴다.
동상 :황경피나무껍질(황백피), 가위톱을 각각 같은 양을 가루 내어 콩기름에 개어 얼어서 진물이 나는 데 바른다. 이 약은 언 독을 빼는 데 좋다.